캐논 미러리스 카메라용 망원 줌렌즈인 RF 70-200 F2.8 L IS US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dslr에서 사용했던 캐논 EF 70-200mm F2.8L IS III USM과의 비교도 함께 진행해보겠습니다. 이번 촬영에서 이용한 바디는 캐논 EOS R6였는데요 이전에 사용한 소니의 70-200과 약간 다른 느낌을 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관적 느낌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DSLR에서 미러리스로의 전환 중인 캐논
1) 엄청난 무게의 변화
dslr에서 사용하는 EF렌즈에 비해 RF렌즈를 만나면 가볍고 컴팩트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F 70-200mm F2.8L IS III USM의 무게가 무려 1,480g이었습니다. 이에 반해 오늘 리뷰하는 캐논 RF 70-200 F2.8 L IS USM는 1,070g입니다. 주로 사용하는 바디에 체결한 무게를 알아보겠습니다.
가. 미러리스 EOS R6 EOS R6 + 70-200 = 589g + 1,070g = 1,659g 나. DSLR 5d MARK4 5d MARK4 + 70-200(3기준) = 890g + 1,480g = 2,370g |
미러리스 조합이 약 40%가볍습니다.
2) 길이의 변화
EF 70-200mm F2.8L IS III USM의 길이는 199mm이고 RF 70-200 F2.8 L IS USM는 146mm입니다. 일반적으로 몸이 기억하는 망원 줌렌즈의 길이에서 약 1/4가 짧아졌기 때문에 실제로 촬영할 때 훨씬 더 편하고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 역시 줄어들었습니다.
결론 : 70-200 렌즈만 기준으로 했을 때 무게는 약 28% 가벼워졌고 길이는 약 27% 짧아졌습니다.
2. 미러리스에서 보여주는 엄청난 AF 성능
캐논의 고질적인 핀 문제는 가끔씩 캐논이 가진 거의 모든 장점을 상쇄하는 단점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러리스로 오면서 AF능력이 무척 향상됐기 때문에 DSLR을 사용하면서 느낀 초점이 나간 결과물에 대한 스트레스가 매우 줄어들었습니다. 이 핀문제 하나만으로도 미러리스로 넘어오기 잘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이름이 길어서 결국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알아빠백통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소니의 70-200과 비교했을 때 체감상 거의 비슷한 AF능력을 보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둘 다 무척 빠르게 이동하는 피사체를 추적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갑자기 화각 안으로 들어오는 피사체도 훌륭하게 초점을 잡아줍니다.
3. DSLR에서 미러리스로 넘어오는 것을 주저하게 되는 이유
위의 모든 장점을 다 알지만, 그래도 미러리스로 넘어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미러리스 라인업의 사악한 가격과 기존 장비를 전부 다 바꿔야 한다는 귀찮음 때문일 것입니다. 이에 더불어 DSLR만의 셔터감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다만 카메라와 렌즈의 경우 시세 변화가 무척 느리기 때문에(다른 전자기기에 비하면 주식과 코인의 가치 변화 차이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미러리스로 넘어오는 것을 망설이는 분들은 한번 정도 R바디와 RF 70-200 F2.8 L IS USM등 RF렌즈를 렌트해서 사용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사진촬영+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짓조 삼각대 마운티니어 2시리즈 GK2545사용후기 (0) | 2022.05.31 |
---|---|
캐논 EOS R5 리뷰 R6와의 비교 장단점 (0) | 2022.05.28 |
로지텍 MX MASTER3 사무용 무선 마우스 종결 (0) | 2022.05.24 |
DJI 오즈모 포켓2 짐벌 카메라 촬영 후기 (0) | 2022.05.18 |
아이폰13 동영상 편집어플 VLLO(블로) 사용기 (0) | 2022.05.11 |
최근댓글